[성남벤처넷 지식포털] 국내에수입된 식품은 지난 10년간 식생활 변화로 가공식품 비중은 늘고 농임산물 비중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. 이는 수입식품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가공식품의 비중이 늘고 농임산물 비중이 줄어드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.
식품의약품안전청(청장 이희성, www.kfda.go.kr)이 발표한'2001~2011년간 수입식품 현황'을 분석한 결과, 식생활 환경 및 식품섭취 패턴 변화로 수입식품 패턴도 바뀌고 있다.
2011년 수입식품 규모는 132억 달러로 10년전인2001년 42억 8천만 달러에 비해 208%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. 이는해마다 20% 정도 증가한 것. 반면 수입식품 물량은 2001년 1,052만 톤에서 2011년 1,346만 톤으로 28% 증가하면서 연 평균 2% 증가에 그쳤다.
수입식품 중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(중량 기준)은 2001년 27.1%에서 2011년에는 36.6%로 높아진 반면 농임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70.2%에서 2011년에는 59.6%로 낮아졌다.또한 가공식품 수입 물량은 2011년 493만 톤으로 2001년 285만 톤 대비 73% 증가하였으나, 농임산물의 경우 2011년 801만 톤으로 2001년 738만 톤 대비 8.5% 증가에그쳤다.
주요 수입은지난 10년간 꾸준히미국, 중국, 호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다. 주목되는 것은점차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은 늘어나고 미국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수입식품 중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 비중은 2001년 8.8%(93만 톤)에서 2011년 18.6%(250만 톤)로 증가하였고, 미국의 경우 2001년 36.6%(385만 톤)에서 2011년 27.1%(364만톤)로 감소했다.
수입식품 건수는 2001년 14만7742건에서 2011년 31만2729건으로 112% 증가하였고, 정밀검사 비율도 15%에서 25%로 증가하였으나, 부적합 비율은 2010년 0.59%에서 2011년 0.33%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
이는 우리나라 기준에 적합한 식품이 수입되도록 주요 수출국과 위생양해각서(MOU)를 체결하고 부적합 제조업소에 대하여 적극적인 실사를 통하여 홍보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.
식약청은 “향후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물질, 부적합 이력이 있는 제품 등을 집중적으로 검사할 예정”이며, “주요 수입국가의 수입품목과 부적합 사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입단계 검사를 강화할 예정”이라고 밝혔다.
아이씨엔 오현서 기자, news@icnweb.co.kr
식품의약품안전청(청장 이희성, www.kfda.go.kr)이 발표한'2001~2011년간 수입식품 현황'을 분석한 결과, 식생활 환경 및 식품섭취 패턴 변화로 수입식품 패턴도 바뀌고 있다.
2011년 수입식품 규모는 132억 달러로 10년전인2001년 42억 8천만 달러에 비해 208%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. 이는해마다 20% 정도 증가한 것. 반면 수입식품 물량은 2001년 1,052만 톤에서 2011년 1,346만 톤으로 28% 증가하면서 연 평균 2% 증가에 그쳤다.
수입식품 중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(중량 기준)은 2001년 27.1%에서 2011년에는 36.6%로 높아진 반면 농임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70.2%에서 2011년에는 59.6%로 낮아졌다.또한 가공식품 수입 물량은 2011년 493만 톤으로 2001년 285만 톤 대비 73% 증가하였으나, 농임산물의 경우 2011년 801만 톤으로 2001년 738만 톤 대비 8.5% 증가에그쳤다.
주요 수입은지난 10년간 꾸준히미국, 중국, 호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다. 주목되는 것은점차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은 늘어나고 미국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수입식품 중 중국에서 수입하는 식품 비중은 2001년 8.8%(93만 톤)에서 2011년 18.6%(250만 톤)로 증가하였고, 미국의 경우 2001년 36.6%(385만 톤)에서 2011년 27.1%(364만톤)로 감소했다.
수입식품 건수는 2001년 14만7742건에서 2011년 31만2729건으로 112% 증가하였고, 정밀검사 비율도 15%에서 25%로 증가하였으나, 부적합 비율은 2010년 0.59%에서 2011년 0.33%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
이는 우리나라 기준에 적합한 식품이 수입되도록 주요 수출국과 위생양해각서(MOU)를 체결하고 부적합 제조업소에 대하여 적극적인 실사를 통하여 홍보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.
식약청은 “향후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물질, 부적합 이력이 있는 제품 등을 집중적으로 검사할 예정”이며, “주요 수입국가의 수입품목과 부적합 사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입단계 검사를 강화할 예정”이라고 밝혔다.
아이씨엔 오현서 기자, news@icnweb.co.kr
'콘텐츠 산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통위, 3대 신성장 IT융합 생태계 조성 방안 발표 (0) | 2012.02.24 |
---|---|
한국콘텐츠진흥원, 문화기술 R&D에 215억 원 투입 (0) | 2012.02.24 |
대전시, 신성장 융합기술에 속도낸다 (0) | 2012.02.19 |
신성장 동력, 융합산업 성공사례 분석 (0) | 2012.02.19 |
스마트사회구현 표준화전략맵 마련됐다 (0) | 2012.02.19 |
아이씨엔은 성남벤처넷 지식포털과 함께 합니다.(바로가기 클릭) |
|
|
아이씨엔 스폰서 광고 (AD.icnweb) 광고문의: icn@icnweb.co.kr |